수1 썸네일형 리스트형 삼각함수 시작하기 2 1. 라디안과 호도법 시초선으로 부터 750도를 회전 한 방향을 떠올려 보자. 자주 접해본 각이 아니라서 직관적으로 어떤 방향인지 바로 떠오르지는 않을 것이다. 그래서 앞서 공부했던 일반각을 통해 750도는 360도를 몇 번 반복하고 알파를 찾는 번거로움을 수행해야 한다. 아래의 그림은 750도를 찾는 것을 이미지로 만들어 본 것이다. 그렇다면 직관적으로 쉽게 방향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? 그렇다!! 바로 라디안을 이용한 방법은 동경의 방향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준다. 라디안을 공부하기 위해서 아래의 정의에 대한 의미를 익혀보자. 라디안의 정의 :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의 중심각에 대응하는 호의 길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의 둘레를 360개로 나눴을 때 길이는 1도에 대응하게 된다. 따라서 1.. 더보기 삼각함수 시작하기 탑클래스의 수학문단속 첫 번째 이야기는 삼각함수 시작 하기입니다. 본 콘텐츠의 제작 목적은 고등학교 2학년 수 1 공통 과정의 삼각함수 문제를 풀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초 개념 강의입니다. 1. 시초선, 동경, 각의 부호 (너와 나의 위치) 옆의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있는 두 점 A, B의 위치를 A와 B의 관점에서 위치를 설명 하고자 한다면 점 B는 A에서 아래로 3칸 오른쪽으로 5칸에 위치해 있다. 앞서 표현한 위치는 점 A를 기준으로 아래로 오른쪽으로 라고 표현을 했는데 이는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2차원 평면 위에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표현하고 있다. 그런데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은 이전의 좌표평면을 통한 표현 밖에 없을까? 사실 조금 더 직관적인 방법이 있다. 바로 극 좌표계라고 부르는 방법.. 더보기 이전 1 다음